Endocrine system
<내분비계의 조절기전>
1. 호르몬:
⦁내분비계는 모든 시체계통과 연결되어 거의 모든 생리적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전달체계
⦁내분비계: 소량의 호르몬을 혈액내로 분비하여 몸 전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계통, 샘·표적기관·수용체로 구성
⦁내분비샘: 호르몬을 혈액내로 분비하는 샘
⦁호르몬: 표적조적에 효과를 나타내는 화학적 전달물질
⦁외분비샘: 관을 통해 분비(침샘, 땀샘, 간, 위, 췌장, 젖샘, 눈물샘)
2. 호르몬의 작용기전
⦁호르몬-표적세포 특이성: 특정한 호르몬에 맞는 수용체가 있을 때만 생화학 반응이 일어남
3. 호르몬 수용체의 종류
⦁단백호르몬-수용체: 반응이 빠르고 작업시간이 짧음. polypeptide, catecholamine
⦁스테로이드호르몬: 반응이 느리고 작용시간이 길다. 스테로이드, 갑상샘호르몬
4. 호르몬의 조절
⦁시상하부(hypothalamus): 방출인자 peptide 분비→뇌하수체 전엽의 H분비 자극or억제
뇌하수체 후엽의 H: 옥시토신, ADH
⦁자율신경계(부신수질, 뇌하수체 후엽)
부신수질의 에피네프린, 노르에피네프린 분비, 위장관H, 췌장의 인슐린과 글루카곤, 신자의 레닌을 직접 방출
⦁혈청 내 H의 양: PTH, 글루카곤, 알도스테론, 칼시토닌
* H조절의 회환성, 자율성 및 1일 변화
⦁Negative feedback: 시상하부 TRH, 뇌하수체전엽 TSH, 갑상샘 T3·T4
⦁Positive feedback: FSH, LH, 에스트로겐, 프로게스테론
⦁24시간 주기변화: 코르티졸 – 밤 12시경이 가장 낮고, 아침 6~8시 사이에 가장 높음
<뇌하수체 기능장애 대상자 간호>
1.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의 구조와 기능
위치 | 기능 | ||
시상하부 | 간뇌의 일부, 제 3뇌실 측면 시상아래 | 자율신경계 조절, 스트레스·식욕·체온·감정을 조절 | |
뇌하수체 | sphenoid bone내의 터키안장 전엽: 선하수체 후엽: 신경하수체 |
전엽: TSH, ACTH, GH, LH, FSH, PRL 분비 후엽: 시상하부에서 생산한 ADH, 옥시토신 저장과 방출 |
|
시상하부-뇌하수체 문맥계 | 시상하부방출인자가 뇌하수체전엽으로 분비됨 |
2. 뇌하수체기능항진증
⦁정의: 뇌하수체 종양이나 증식으로 H회환조절기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태, 흔히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1가지 이상의 호르몬이 과잉분비
⦁원인: 뇌하수체샘종
고프로락틴혈증 | 성장호르몬과잉분비 | |
원인 | 유즙분비종양 | 뇌하수체 선종 GH는 간에서 1호-1을 생산하도록 자극하여 뼈와 연조직의 성장을 초래 |
증상 | 성샘기능저하, 유즙분비 여-무배란, 월경장애, 생리분순, 불임, 유즙분비 남-성욕감소, 발기부전, 정자수 감소, 불임, 여성형 유방 |
거인증: 골단 폐쇄 전, 키가 2m 이상 말단비대증: 골단 폐쇄 후, 키가 크지는 않으나 손발 증대 말단비대증 모양의 얼굴, 종양이 진전되면 시신경 교차점의 압박으로 두통, 양측성 반맹증, 뇌압상승으로 뇌졸중, 발작 |
치료와 간호 |
외과적-경접형동 종양절제술 내과적-bromocriptine(부작용: 체위성저혈압, 위장자극, 오심, 두통, 복부경련, 변비) |
외과적-경접형동 뇌하수체 절제술, 개두술 방사선-뇌하수체 X선 외부조사 약물-bromocriptine: GH, PRK 억제 |
⦁나비뼈통과 뇌하수체 절제술(Transsphenoidal hypophysectomy): 전신마취하에, 접형동을 통해 뇌하수체로 접근, 샘을 제거한 후 경막을 메우고 뇌척수액 유출을 막음, 피부통합 후 코 심지를 넣고 코 밑 드레싱 시행
수술 전 간호 | 불안→불안 완화 ⦁불안의 정도 사정, 정보제공, 일상생활 독립성 유지 |
치료 및 합병증에 대한 지식부족→환자교육 ⦁체중감소, 변비, 식욕부진 사정 ⦁식이: 고칼로리, 고섬유, 식욕부진 시 소량씩 자주 ⦁당뇨 증상 관찰과 교육 ⦁종양의 압박증상 관찰과 교육 ⦁부신피질 부전 증상 관찰과 교육 ⦁관절염이나 활동장애 시 기동력 사정, 이동보조기구의 사용 ⦁수술 후 교육: 기침, 재채기, 발사바메뉴버 금지, 수술 후 2~3일간 비 심지 유지 |
|
자존감저하→자긍심 증진 | |
수술 후 간호 | 통증→통증완화 |
체액부족의 위험성→체액부족 관찰 ⦁수술 후 ADH 소실로 일시적 요붕증 ⦁매일 체중, I/O 체크 ⦁소변과 혈청삼투압 농도 측정→요비중↓ 소변삼투압↑ 혈청삼투압↑ ⦁vasopressin 투여 |
|
가스교환장애→가스교환증진 ⦁침상머리 30도 상승 ⦁기침금지: 절개부위 압력 증가, CSF 누출 ⦁산소공급→ABGA 확인 ⦁구강호흡: 자주 입을 헹구고, 입술에 바세린 |
|
감염위험성→예방 ⦁뇌막염 증상관찰(두통, 체온상승, 목의 경직) ⦁처방에 따른 항생제, 진통제, 해열제 투여 |
3. 뇌하수체기능저하증
범하수체 기능저하증 | 난장이증(왜소증) | |
정의 |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H 모두 부족, 뇌하수체 70~90% 파괴 시 발생, 부족한 뇌하수체 H을 모두 대치하지 않으면 치명적 | 성장호르몬방출인자의 부족, 성장호르몬 억제인자 과잉분비 |
원인 | 뇌하수체 샘종, Sheehan’s syndrome, 두개인두종양 | |
치료 | 호르몬 대치요법 | 유년기부터 GH 투여 |
4. 뇌하수체후엽 기능장애
1) 요붕증(DI)
⦁정의: ADH 결핍으로 초래되는 수분대사질환
⦁원인
신경성 또는 중추성 요붕증: ADH의 결핍 콩팥성요붕증: 콩팥요세관이 ADH에 대한 저항성으로 반응하지 않아서 유발 일차성/목마른 요붕증: 뇌의 갈증중추의 손상에 의해 발생 임신성: 임신 중 태반에서 만드는 효소가 산모의 ADH를 파괴하여 발생 |
⦁증상
지속적인 다뇨: 하루 소변량이 5~20L 이상 심한 갈증, 탈수 요비중: 1.006 미만 cf. 혈청비중, 삼투압 ↑ 두통, 시력장애, 근육쇠약, 근육통, 식욕부진, 체중감소 전해질 불균형: 피로, 무기력, 불안정 |
⦁치료(수분과 호르몬 보충)
약물 | 작용 | 간호중재 |
ADH(vasopressin) | 신세뇨관에서 수분의 재흡수 증가 | I/O·BW 체크, 수분섭취 격려 |
demopressin | 분무 시 똑바로 앉은 자세 취하기 |
* 비강을 통한 투약간호
금기사항이 아니면, 약물 주입 전 조심스럽게 코를 풀도록 지시 비강 분무약물 주입 시 대상자로 하여금 반듯하게 앉아 있도록 하고, 고개 뒤로 젖히지 않도록 지시 비강분무기 주입 시 분무기 끝을 비강에 삽입하고 분무기병을 빠르고 세게 누름 약물주입 후 몇 분 동안 코를 풀지 않도록 지시 투약 후 대상자의 투약에 대한 반응을 모니터 |
2) 항이뇨호르몬 부적절분비증후군(SIADH)
⦁정의: ADH의 부적절한 분비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질환, 혈장삼투압 저하
⦁원인
폐의 소세포암, 이자(췌장)암 호흡기장애: 폐암, 결핵, 양압 인공호흡기 적용, 폐렴, 폐농양, 기흉 기타 악성종양: 십이지장암, 이자암, 전립샘림프종, 육종, 백혈병, 호지킨림프종, 비호지킨림프종 중추신경계장애: 종양, 뇌염, 뇌졸중, 손상, 수술 등 내분비장애: 부신기능상실, 뇌하수체 전엽 기능 상실 스트레스 |
⦁증상
주요 원인은 저나트륨혈증에 의함 혈중나트륨과 삼투압 감소 ⦁혈청 Na120: 무증후성 저나트륨 혈증 ⦁혈청 Na120 이하: 식욕저하, 오심, 구토 ⦁혈청 Na115 이하: 뇌로 수분이동→IICP 증상: 기면, 두통, 근육경련, 심부건반사 감소, 발작, 의식저하→혼수, 사망 소변 내 나트륨과 삼투압 증가 소변량 감소 체중 증가 |
⦁치료와 간호
수분섭취제한(하루 500~600ml로 제한): 수분 제하하면 요중으로 나트륨 배설은 감소, 혈청나트륨이 상승 I/O·체중 체크, 수분제한을 위해 좋아하는 음료 제공 약물: 고장성 saline IV: 수분섭취제한으로 효과 없는 경우 투여, 수분중독으로 울혈성심부전을 초래한 경우 이뇨제 투여(저나트륨혈증 주의) 안전한 환경제공 ⦁지남력을 2시간마다 확인 ⦁소음과 빛을 줄임(과도한 자극 방지) ⦁침상난간 올리기 |
성인간호학: 응급간호 - 심혈관계에 작용하는 약물(응급약물) (0) | 2022.02.20 |
---|---|
성인간호학(내분비계: 부신) (0) | 2022.01.23 |
성인간호학(내분비계: 갑상샘기능장애, 부갑상샘기능장애) (0) | 2022.01.23 |
성인간호학(내분비계: 당뇨병, 당뇨병합병증) (0) | 2022.01.23 |
성인간호학(혈액투석 복막투석 비교) (0) | 2022.01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