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궁의 양성종양
자궁근종 | 특징 | 평활근세포에서 발생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받아 가임기에는 빠르게 성장하나 폐경 후에는 소멸 |
위험요인 | 초경이 빠를수록 발생위험 높고, 출산력 있으면 감소, 임신중, 경구피임약 복용, 과체중 | |
유형 | 점막하: 자궁내막 바로 아래, 출혈, 육종성 변성 위험 근층내: 자궁근종 대부분 장막하: 복막 바로 아래, 육경형성 |
|
증상 | 월경과다, 부정자궁출혈, 만성골반통, 하복부에서 덩어리 촉지, 하복부 팽만감, 방광압박, 장압박 |
|
임신과의 관계 | 난임유발 또는 임신1기 유산의 원인 임신2기: 자궁근종에 혈액순환장애로 적색변성 일으킴 임신3기, 분만: 출혈, 자궁무력증, 산도폐쇄 분만 후: 자궁이완으로 산후출혈, 자궁내막염 유발 |
|
치료 | 고식적요법: 근종크기 작고 증상없으면 6개월마다 관찰 호르몬요법: GnRH활성제 사용하여 저에스트로겐혈증 유발 외과적 요법: 근종 절제술, 레이저수술, 자궁절제술, 근종용해술, TACE |
|
자궁절제술 적응증 | 근종크기가 클 때, 비정상적 출혈로 빈혈, 월경과다 동반한 점막하근종, 육경성 근종, 근종에 의한 방광, 직장 압박증상, 폐경 후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, 골반질환과 동반 |
|
CIN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|
특정 | 침윤성 자궁경부암의 전암병소, 변형대에서 시작, 20-30대 호발 |
유형 | CIN1: 경증 CIN2: 중증도 CIN3: 중증, 상피내암 포함 CIS: 상피내암 | |
호발부위 | 변형대: 편평원주상피접합부=SCJ | |
위험요인 | HPV 16, 18, 31 | |
치료 | 추적관찰: 경증, 임신 원하는 여성/세포진검사, 질확대경 검사를 정기적 실시 국소파괴요법: 경증, 중증도, 임신원하는 여성/냉동요법, 전기소작법, LEEP, CO2레이저요법 수술: 원추절제술, 자궁절제술 |
|
자궁폴립 | 전암가능성 | 페경 이후 폴립: 악성암과 동반되는 경우 多 선종양성폴립, 재발하는 폴립: 자궁내막암의 전 단계 이거나 관련됨 |
치료 | 자궁내막소파술(D&C), 폴립절제술 후 레이저치료, 전자궁절제술 |
<CIN 진단법>
세포진 검사-도말검사 (PAP smear) |
목적 | 침윤 전, 초기 암 진단, 자궁경부암 조기발견 위한 정기검사 |
방법 | 편평원주상피세포 접합부 부위의 세포를 반드시 채취, 검사 전 질세척과 성교 금지 | |
검사 시기 |
성적 접촉이 시작된 여성은 최소 2년에 1회 검사 자궁경부암 위험인자가 있는 여성은 최소 1회/6개월 접촉출혈과 월경사이에 출혈이 있을 때 반드시 검사 |
|
씬프랩 | 특징 | 자궁경부 도말검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새로 개발된 액상세포학적 검사 검사의 정확도 증가 |
실러 검사 | 적응증 | 세포진 검사에서 양성으로 조직생검이 필요할 때 암이 의심되는 병소부위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서 질확대경을 이용할 수 없을 때 자궁절제술 후 보조진단 목적으로 이용 |
방법 | 요오드 용액도포-정상: 적갈색 암세포: 노란색 | |
질확대경 | 특징 | 조기진단에 필수적인 검사 40배로 확대되어 세밀하게 관찰, 자궁경부의 이상소견의 종류, 정도, 범위 파악 |
적응증 | 세포진 검사가 비정상인 경우 접촉성 출혈이 있거나 암이 의심되는 병소가 보이는 경우 |
|
자궁경부 확대촬영술 | 특징 | 자궁경부 세포검사 보완할 목적으로 개발 |
조직생검 | 특징 | 비정상 질확대경 소견이 있을 때 최종 진단을 내리기 위해 조직의 일부를 떼어내는 것 펀치생검: 병변이 가장 심한 부위를 깊게 조직을 떼어 생검, 지혈 필요 |
원추절제술 | 특징 | 진단과 치료를 겸한 목적으로 실시 변형대 전체를 한꺼번에 절제할 수 있어 1회의 시술로 진단 냉나이프와 CO2레이저를 이용한 생검 |
루프환상투열절제술 | 특징 | 전기기구로 조직의 절제와 응고를 동시에 가능하게(지혈 필요X) 변형대 전체를 절제하여 진단, 치료 동시 시행, 외래시술 |
자궁의 악성종양
자궁 경부암 |
특징 | 30세 이후 증가하여 50대에 정점 |
원인 | 성접촉성 감염질환, 첫 성교 나이 어린 경우, 성파트너多, 성매개질환, HIV, HPV | |
분류 | 악성도: 선편평암>선암(원주상피)>편평암 | |
호발 부위 |
편평원주상피접합부(SCJ) | |
증상 | 초기: 거의 없음, 성교 후 접촉출혈 진전된 경우: 동통, 궤양, 월경과다, 식욕부진, 체중감소 말기: 지속적 요추천골통, 편측성 임파샘 부종, 요관 페쇄증 |
|
진단 | 증상, 자궁질 경부의 진찰소견으로 진단 조직생검, 원추생검, 경광내소파술 등으로 확진 |
|
병기 | 1기: 자궁경부에 국한-1A1, 1A2/1B1, 1B2 2기: 병변이 자궁경부를 벗어났으나 골반벽에는 이르지 않은 상태-2A, 2B 3기: 암이 골반벽까지 침범했거나, 질 상부 1/3까지 침범한 상태-3A, 3B 4기: 암이 방광막이나 질장점막까지 침범-4A, 4B |
|
치료 | 보존적 요법: LEEP, 투열절제술, CO2레이저요법, 전기소작, 냉동요법, 원추절제술, 자궁경부 절단술 수술요법: 전자궁절제술, 광범위 근치절제술 방사선요법: 골반외부 조사, 자궁강내 조사 항암화학요법 |
|
추후 관리 |
목표: 재발암 발견, 치료 후 합병증 발견 및 신속한 처치, 다른 문제점 발견 치료 후 첫 2년간은 3개월마다, 이후 3년간은 6개월마다, 이후로는 1년마다 추적조사 추적조사 시 PAP, 종양 표지자 측정 임신 중 치료: 임신 24주 전-비임신상태와 동일하게 치료, 임신 28-32주 이후: C/S후 치료 |
|
자궁 내막암 |
원인 | 미산부, 무배란성 월경에 의한 불임증이나 월경장애, 49이전 폐경이나 52세 이후 페경, 비만, 유방암 또는 잦궁암의 기왕력, 장기간 에스트로겐에 의한 자극 |
분류 | 자궁내막양 선암: 多, 투명세포암: 악성도 높음, 점액성암, 유두상 장액성 암, 편평세포암: 예후 bad | |
증상 | 부정자궁출혈, 비정상 대하, 통증, 체중감소, 빈혈 등 | |
진단 | 분사식 세척관류법: 정확도 97%, 자궁내막 흡인생검: 90%이상 확진, D&C: 자궁경부침윤여부파악 | |
자궁 육종 |
특징 | 자궁악성종양 중 5% 치명적인 암, 근육, 결합조직에서 발생, 폐경 후 호발, 혈류성 전이가 흔함 |
증상 | 비정상적 질출혈, 자궁증대, 복부 종괴 촉지, 복통, 압박감 | |
치료 | 병기에 따라: 전자궁절제술, 양쪽 난관절제술, 방사선치료, 항암화학요법 등 | |
융모성질환 | 포상 기태 |
양성 임신성 융모성 질환 |
침윤성기태 | 악성, 비전이성 | |
융모성피암 | 악성, 전이성 |
<자궁경부 세포진단 분류체계>
Bethesda system | CIN 분류 | WHO 분류 |
정상 | 정상 | 정상 |
ASC-US | 염증/회복반응 | 염증/회복반응 |
LSIL | CIN1 | 경증 이형성증 |
HSIL | CIN2 | 중증도 이형성증 |
CIN3 | 중증 이형성증: 상피내암 | |
침윤성 자궁경부암 | 침윤성 자궁경부암 | 침윤성 자궁경부암 |
여성건강간호학(분만 단계별 간호) (0) | 2022.01.14 |
---|---|
여성건강간호학(임신과 관련된 질환과 다태임신) (0) | 2022.01.14 |
여성건강간호학(태아건강상태) (0) | 2022.01.14 |
여성건강간호학(성매개질환) (0) | 2022.01.11 |
여성건강간호학(생식기감염) (0) | 2022.01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