태아건강상태
1. 무자극검사(NST)
1) 목적: 태동에 대한 태아심박수의 변화를 통해 태아의 건강상태 평가
2) 결과해석:
⦁반응: 정상
- 20분 동안 15초 이상 지속되는 분당 15회 이상 태아심박수 상승 2회 이상 나타나는 경우
⦁무반응: 태아 건강상의 문제
- 40분 이상 관찰하여도 태동이 동반되는 태아심박수 상승이 부족한 경우
CST 검사 필요
* CST
1) 방법: 옥시토신을 이용한 자궁수축검사는 자궁 수축 시 태아에게 가는 혈류량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옥시토신을 산모에게 투여하여 자궁수축을 유발시킨 후 태아 심박동 변화 여부를 확인하여 자궁태반 간 순환이상을 확인함으로써 태아건강생태를 사정하는 검사
2) 결과해석:
⦁음성: 태아 건강함
- 10분 동안 3회 수축 시 태아심음의 후기감속이 없음
⦁양성: 태아사망, 태아질식
- 10분 동안 3회 수축 시 후기감속 나타남
2. 양수천자
1) 임신 전반기: 유전적 질환과 선천적 결함 여부 확인
2) 임신 후반기: 태아의 성숙도, 양막염 진단
* Triple test: 에스트리올, hcg, 모체 혈청을 통한 AFP 검사
모체혈청을 통한 AFP 검사
1) 검사시기: 임신 16~18주 실시, 그 후 양수천자로 다시 확인 가능
2) 적응증: 신경관 결손, 기형아, 태아성장 지연, 조산, 염색체 이상 등
3. 폐성숙도 검사(shake test)
1) 방법: 양수를 채취하여 알코올과 섞어 흔들기
2) 거품이 일면 L/S 비율이 2.0 이상(36주 이후) 시 폐성숙 의미
4. 태아심박동 평가
1) 태아 전자감시기를 통한 검사
2) 자궁수축 간격, 기간, 강동 및 태아심박동 상태의 변화를 알 수 있음
3) 결과
조기감퇴(조기하강) | 후기감퇴(만기하강) | 가변성감퇴 (변이성하강) |
지연된 감퇴 |
태아심박동 하강이 자궁수축 시 자궁내압의 상승과 일치하여 발생 자궁수축 끝나면 기본선으로 회복 |
자궁수축 이완 시 태아심박동이 감소되어 있음 수축 후에도 회복이 즉시 되지 않음 |
자궁수축과 관계없이 다양하게 변화(U, V자형) | 태아심박동이 2분 이상 10분 이내로 약 30회/분 이상 기본선 아래로 감소 |
아두압박 | 자궁과 태반의 혈액순환 부적절(자궁태반 기능부전) | 제대압박 | 지속적인 제대 압박, 자궁태반 기능부전, 지속되는 아두압박으로 산소공급 부족 |
5. 태아심음 청진
1) 도플러상 12주경 청진 가능
2) 정상: 120~160회/분
6. 생물리학계수(BPP)
생물리학적요인 | 정상(2점) | 비정상(0점) |
태아호흡운동 | 30분간 관찰 시, 30초 이상 지속되는 용동성 호흡운동이 1회 이상 | 30분 동안 태아의 호흡이 30초 이하로 지속되는 호흡이 있을 때 |
태동 | 30분간 관찰 시, 3회 이상의 몸통 혹은 사지의 구별된 움직임 있을 때 | 3회 미만의 움직임이 있을 때 |
태아긴장력 | 30분간 관찰 시 사지가 신전되었다가 다시 굴곡되는 운동 혹은 손을 펴거나 쥐는 운동이 1회 이상 있을 때 | 움직임이 없거나 신전/굴곡하지 않을 때 |
심박동 반응성 | 20`40분간 관찰 시, 분당 15회 이상, 15초 이상 지속되는 태아심박수 증가가 2회 이상 있을 때 | 20~40분간 태아심박수 증가가 없거나 1회 있을 때 |
양수지수 | 수직으로 2cm 넘는 양수포켓이 있을 때 양수지수가 5cm 이상 있을 때 |
가장 큰 양수포켓이 수직으로 2cm 이하일 때 양수지수가 5cm 미만일 때 |
1) 목적: 태아의 생물리학적 활동을 관찰하여, 태아의 중추신경계 기능의 보존정도를 측정하는 태아 안녕검사의 일종으로 태아사망위험을 인지하는 데 정확한 평가를 하도록 도움
2) 결과:
⦁정상: 8~10점
⦁양수 정상+6점: 태아가사 있으므로 24시간 이내 재측정
⦁양수 비정상+6점: 태아가사의 위험
⦁4점: 태아가사 위험 매우 높음
⦁2점: 태아가사 거의 확실
⦁0점: 태아가사 확실
여성건강간호학(분만 단계별 간호) (0) | 2022.01.14 |
---|---|
여성건강간호학(임신과 관련된 질환과 다태임신) (0) | 2022.01.14 |
여성건강간호학(자궁암) (0) | 2022.01.14 |
여성건강간호학(성매개질환) (0) | 2022.01.11 |
여성건강간호학(생식기감염) (0) | 2022.01.11 |